- 열린어린이집 운영·관리 시스템 도입 -
※ 열린어린이집 ☞ 어린이집의 물리적 구조·프로그램 운영에서 개방적이고 부모의 일상적 참여가 이루어지는 어린이집으로 시군구청장이 선정한 어린이집
□ 보건복지부는 지난 6월 1일(화)부터 열린어린이집 운영·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부모의 정보 접근성과 어린이집과 자자체 공무원간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 그간 열린어린이집은 지자체 공무원과 어린이집 간 개별 업무연락과 종이문서를 통해 선정·운영하여 정보 누락, 업무 부담이 발생하였으며, 부모들이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보육통합정보시스템」상 열린어린이집 선정·운영 관리 기능을 추가하여 서류 간소화 및 시스템을 통한 정보전달이 가능하도록 하고,
- 「어린이집 정보공개누리집」을 통하여 부모 등 전국민이 열린어린이집 선정·운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열린어린이집은 물리적 공간 개방성과 함께 보육프로그램, 어린이집 운영에 이르기까지 부모의 일상적 참여가 이루어지는 어린이집으로,
○ 매년 각 시·도 및 시·군·구에서, 어린이집의 개방성·참여성·지속가능성·다양성 등의 기준에 따라 선정하고,
- 영유아의 부모가 재능기부, 자원봉사, 운영위원회 및 부모교육 등 다양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으며,
- ’20년 12월말 현재 어린이집의 21.3%인 7,532개가 열린어린이집으로 운영되고 있다.
< 열린어린이집 현황(‘20.12.31. 기준) >
구분  | 어린이집 유형  | |||||||
계  | 국공립  | 사회 복지법인  | 법인· 단체등  | 민간  | 가정  | 협동  | 직장  | |
전체 어린이집  | 35,352 (100%)  | 4,958 (14.0%)  | 1,316 (3.7%)  | 671 (1.9%)  | 11,510 (32.6%)  | 15,529 (43.9%)  | 152 (0.4%)  | 1,216 (3.4%)  | 
열린 어린이집  | 7,532 (100%)  | 2,439 (32.4%)  | 125 (1.7%)  | 86 (1.1%)  | 2,204 (29.3%)  | 2,453 (32.6%)  | 9 (0.1%)  | 216 (2.9%)  | 
비율(%)  | 21.3%  | 49.2%  | 9.5%  | 12.8%  | 19.1%  | 15.8%  | 5.9%  | 17.8%  | 
□ 「보육통합정보시스템」 상 열린어린이집 선정, 운영 및 관리 절차는 아래와 같으며,
< 시스템 도입 전후 비교>
처리 절차  | 주요 내용  | 비고  | |
전  | 후  | ||
선정 공지  | 어린이집 대상 개별 업무연락  | 
 보육통합정보시스템으로 [공지→신청→선정심사→선정결과] 확인  | 보육통합 정보시스템  | 
신청  | 신청서 별도 작성  | ||
승인  | 선정정여부 우편송달  | ||
사후관리  | 지자체별 관리  | 열린어린이집 통계 생성  | |
정보공개  | -  | 열린어린이집 선정여부 대국민 공개  | 어린이집 정보공개 누리집  | 
○ 열린어린이집 선정·운영 정보는 ‘어린이집 정보공개 누리집(http://info.childcare.go.kr/)’에서 어린이집을 검색하면 어린이집명과 함께 표시되어 확인할 수 있다.
[어린이집 정보공개누리집] ⇨ [통합정보공시] ⇨ [어린이집·유치원 찾기] ⇨ [어린이집검색]
□ 보건복지부 양성일 제1차관은 “정보화를 통하여, 부모의 다양한 참여를 도울 수 있는 열린어린이집을 더욱 활성화 시키고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 (현재) ’20년 7,532개소 → (계획) ’21년 9,000개소, ’22년 11,000개소(전체의 30% 이상) 확대
[ 보건복지부 2021-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