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 철근 사용, 건축물 안전의 시작

by 강원도소비생활센터 posted Oct 13,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일반 철근의 KS 품질기준을 강화하고, 고강도 특수내진 철근과 나사 철근에 대한 규정을 신설하기 위하여 국가표준(KS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을 개정한다.
 
ㅇ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제대식, 이하 국표원)은 10월 2일 철근 국가표준 개정안을 2개월동안 예고고시하였다. 철근 생산자, 시공사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내년 1월에 개정 고시할 계획이다.
 
□ 철근 국가표준(KSD 3504)의 주요 개정내용은,
 
ㅇ 철근에 불순물로 들어 있는 인(P), 황(S)의 최대허용값을 일본기준으로 엄격히 하고(0.050%→0.040%), 항복강도 상한값을 설정해서 취성파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성을 강화하였다.
 
* 취성 파괴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붕괴될 때 철근이 항복(엿가락처럼 늘어남)하고 콘크리트가 천천히 부서져야 안전을 확보하는데, 철근이 너무 강해서 콘크리트가 먼저 급속히 무너지는 파괴
 
ㅇ 고층건물(60 m 이상)에도 띠철근으로 내진보강을 하지 않더라도 내진설계가 가능한 항복강도가 600 N/㎟ 이상인 고강도 특수내진철근(SD 600S) 기준을 세계 최초로 국가표준에 반영하였다.
 
* 일본표준(JIS R 3112)은 항복강도 490 N/㎟까지 특수내진철근 기준을 설정
ㅇ 또한, 철근 마디가 나사산 형태로 되어 있어 시공 시 철근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는 나사철근 기준도 신설하였다. (참고 2)
 
□ 국표원 강병구 표준정책국장은 “이번 철근 국가표준 개정은 건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지진에 대비하여 안전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필요를 반영한 것으로,
 
ㅇ 첫째, 고강도 철근, 특수내진철근, 나사철근의 사용 확대로 건물의 안전성이 강화될 뿐 아니라 시공이 편리해지고,
 
ㅇ 둘째, 철근 사용량과 시공비 절감으로 아파트의 실평수는 늘리고 분양가는 낮출 수 있으며,
 
* 기존 철근을 고강도 내진철근으로 바꿀 경우 철근 물량을 20%(84만원/호) 줄일 수 있어서 6만호 기준으로 연간 126억원 절감 (LH공사, 철근공청회 '15.8.)
 
ㅇ 또한,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CO2를 줄이는 효과도 크다”고 말했다.
 
* 철근 1톤 생산시 발생하는 CO2는 0.4톤으로 기존 철근(SD 400)을 고강도 철근(SD500, SD600)

 

[국가기술표준원 2015-10-08]


Articles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