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명절, 올바른 식품 구매요령 등 식품안전 정보 제공

by 강원도소비생활센터 posted Sep 25,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추석 명절을 안전하고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올바른 식품 구입·섭취 요령 등 식품안전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특히 추석 명절은 낮 기온은 높고 아침·저녁은 쌀쌀하여 일교차가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식중독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추석 명절을 즐겁고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식품안전 정보로 ▲제수용품 등 식품 구입요령 ▲식품 조리 전·후 보관 요령 ▲식품 조리 방법 ▲성묫길 식중독 예방 요령 ▲현명한 식사방법 ▲건강기능식품 구매요령 및 섭취 주의사항 등을 소개한다.

<제수용품 등 식품 구입요령>
○ 추석 제수용품 장보기는 밀가루, 식용유 등 냉장이 필요 없는 식품부터 과일·채소, 햄·어묵 등 냉장이 필요한 가공식품, 육류, 어패류 등의 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대형할인마트나 백화점 등에서 장보기에 80분 정도(1회 평균) 소요되어 상온에서 세균수가 급속히 늘어날 수 있으므로 냉장·냉동식품은 마지막에 구입해야 한다.
- 구입양은 필요한 양만큼 만을 유통기한·표시사항을 잘 확인하여 신선한 식품을 선택해야 한다.
○ 육류는 판매하는 곳의 보관상태와 환경이 어떤지를 확인하고, 고기의 색깔, 윤택과 탄력성 등을 잘 살펴서 구매하여야 한다.
- 소고기는 밝은 선홍색의 살코기와 유백색의 지방이 잘 조화되고 탄력이 있는 고기를 고르는 것이 좋다.
- 돼지고기는 엷은 선홍색이나 밝은 미홍색을 띠는 것이 좋으며, 고기에 탄력이 있고 지방색은 희고 단단한 것이 좋다.
- 닭고기는 광택이 있으며 탄력성이 있는 것이 좋고, 개별 포장된 국내산 닭고기를 구입하되 포장지 내 육즙이 많이 흘러나오지 않은 것으로 유통기한 등 상품정보를 확인 후 구입한다.
○ 수산물은 냉장, 냉동 등 유통조건 등을 확인하고 수산물의 종류에 따라 외관 등을 다음과 같이 꼼꼼하게 확인한 후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생선의 몸통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통통하게 탄력이 있고 눈은 투명하면서 푸른 기운이 느껴져야 하며 아가미는 깨끗하고 선홍색을 띠면서 비늘과 껍질에 윤기가 나고 비늘이 고르게 밀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
- 또한 항문에 내장이 나와 있거나 황색을 띤 즙이 나와 있는 것은 신선하지 않고 상한 것일 수 있으므로 구매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식품 조리 전·후 보관 요령>
○ 채소·과일류 등 농산물은 표면에 미생물 오염 우려가 있으므로 채소․과일용 1종 세척제(살균제)로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 마늘, 고추 등 야채류는 깨끗한 물로 씻어 냉장고에 보관하고 섭취 시에는 다시 한 번 깨끗한 흐르는 물로 충분히 씻어야 한다.
○ 육류는 그 형태에 따라 보관방법이 달라지므로 다음과 같이 보관하여야 한다.
- 얇게 썬 고기는 단면이 넓어 그만큼 상하기도 쉽기 때문에 개봉 즉시 요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잔량이 남았을 경우에는 밀봉해서 보관한다.
- 두껍게 썬 고기 보관 시, 냉장 보관 시에는 1~2일을 넘기지 않도록 해야 하며 고기를 여러 장 겹쳐 보관하면 겹친 부분의 색이 변하므로 랩이나 비닐을 끼워 보관해야 한다.
- 다진 고기는 부패 속도가 가장 빠르므로 구입 즉시 물기를 제거하고 밀봉하여 보관해야하며, 냉장 보관 시에는 1~2일, 냉동 보관이라도 2주는 넘기지 않도록 한다.
- 조리한 고기는 지퍼백이나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 보관하여야 하고, 특히 조리육은 신선육보다 산화 또는 변질되기 쉬우므로 가능한 빠른 시간 내 소비하도록 한다.
○ 수산물은 구입 후 당일 사용할 만큼 나누어서 포장한 후 다른 식품과 구분하여 냉장고에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가급적 날짜를 표시하여 먼저 구입한 순서대로 사용해야 된다.
- 활어나 선어 구입 시에는 가급적 곧바로 섭취하는 것이 좋지만 보관 하는 경우에는 내장을 깨끗하게 제거한 후 냉동 또는 냉장해야 된다.
- 냉동 수산물은 필요한 만큼만 해동하여 곧바로 사용하고 남은 것이 있더라도 미생물 증식 등 변질·부패되기 쉬우므로 다시 냉동하여 보관하지 말고 폐기해야 된다.
○ 또한 계란을 냉장고에 보관 시 바로 먹는 야채와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 보관해야 한다.

<식품 조리방법>
○ 음식을 조리할 때는 위생장갑을 착용하며, 조리가 되지 않은 식품과 이미 조리가 된 식품은 칼·도마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가열 조리할 때에는 음식물의 내부까지 충분히 익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전 등을 부칠 때 많이 쓰는 계란은 껍질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이 다른 식재료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맨 손으로 만지지 말고 부득이하게 만진 경우에는 즉시 손을 씻어야 한다.
○ 명절 음식은 많은 양을 미리 조리하여 보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2시간 내로 식혀서 덮개를 덮어 냉장 보관하고, 냉장 보관된 음식은 반드시 재가열한 후 섭취하도록 한다.
○ 열량을 낮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 전은 두부, 버섯, 채소 등을 가급적 많이 사용하여 조리 후에는 키친타월을 이용하여 기름을 충분히 제거한다.
- 기름을 사용하는 조리법인 튀김·볶음보다 굽기·삶기로 하고, 다시 데울 때는 기름을 추가하지 않고 전자레인지나 에어오븐 등을 사용하여 열량을 낮출 수 있다.
○ 아울러 부침반죽이나 튀김옷은 되도록 얇게 하여 반죽과 튀김옷의 탄수화물 섭취로 인한 추가 열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성묫길 식중독 예방 요령>
○ 성묘 시 준비한 음식은 트렁크에 보관하면 미생물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수만큼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아이스박스, 아이스팩 등을 이용하여 10℃ 이하 냉장상태로 운반하며, 성묘 후 준비한 음식을 먹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거나 물티슈로 닦아야 한다.
※ 미생물성장예측모델(36℃에서 식중독균 증식 정도)
0시간(2,630마리) → 1시간(9,300마리) → 2시간(52,000마리) → 3시간(370,000마리)
- 또한 성묘 시 덜 익은 과일이나 독버섯 등을 함부로 채취·섭취해서는 안 되며,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계곡물이나 샘물 등을 함부로 마시지 말고 마실 물은 가정에서 미리 끓여서 가져가야 한다.
○ 아울러 음식물 섭취 후 구토, 설사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가까운 병·의원에 방문하여 의사의 지시에 따르도록 하며, 식중독 예방요령은 식중독예방홍보사이트(www.mfds.go. kr/f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명한 식사 방법>
○ 명절에는 음식의 종류가 다양하고 한 끼에 많은 음식을 섭취할 우려가 있으므로 평소 식사량을 생각하여 식사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 명절음식은 전, 고기류 등 기름지거나 열량이 높은 경우가 많아 나물이나 채소를 많이 섭취하면 열량 과잉을 예방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쌀밥, 토란국, 소고기산적, 도미찜, 녹두빈대떡, 도라지나물, 배추김치를 먹은 후 간식으로 깨송편과 배를 먹으면 총 열량은 약 1,058kcal로 하루 권장섭취량(2,400kcal, 성인 남성 기준)의 약 44.0%에 해당한다.
※ 쌀밥(1/2공기, 125g) 145 kcal / 토란국(1/2대접, 125g) 232kcal / 소고기산적 (1/2작은접시, 70g) 159 kcal / 도미찜(1토막, 100g) 126kcal / 녹두빈대떡(1/2중간접시, 50g) 104kcal / 도라지나물(1/2작은접시, 25g) 28kcal / 배추김치(1/2작은접시, 25g) 19kcal / 깨송편(4개, 100g) 224kcal / 배(1/2개, 100g) 21kcal
○ 가족의 화목과 건강을 위해 간단한 운동과 민속놀이를 즐길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하며, 지나친 음주는 열량 섭취를 증가시키므로 음주빈도와 음주량을 줄이며 1회 섭취량이 1~2잔을 넘지 않도록 한다.

<건강기능식품 구매요령 및 섭취 주의사항>
○ 추석명절에 부모님과 친척분들의 선물용으로 구입하는 건강기능식품은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처방되는 ‘약’이 아니므로 허위‧과대‧비방의 표시‧광고에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
-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을 지나치게 장담하며 ‘고혈압, 당뇨, 관절염, 성기능 개선 등’과 같은 질병치료에 효능‧효과가 있는 것처럼 주장하는 허위‧과대‧비방의 표시‧광고가 있는 제품은 구매하지 않는 것이 좋다.
○ 건강기능식품을 구매(인터넷 쇼핑몰 포함)할 때에는 문구 및 인증 도안(마크)과 한글표시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 특히 최근 인터넷 및 신문 등을 통해 전통적으로 건강에 좋다고 여겨져 널리 판매되고 있는 ‘건강식품’은 식약처로부터 기능성이 입증되지 않은 일반식품으로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문구와 도안(마크)이 없다.
- 정식으로 수입 또는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은 식약처에서 인정한 제품별 기능성을 포함한 수입(제조) 업소명, 원재료명, 유통기한 등과 같은 한글표시 사항이 있으므로 꼼꼼히 살피고 구매해야 한다.
○ 건강기능식품은 안전성과 기능성이 확보되는 일일섭취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반드시 제품에 표시된 섭취량, 섭취방법, 섭취 시 주의 사항을 확인하고 섭취하는 것이 안전하다.
- 참고로 인삼․홍삼 제품은 당뇨치료제나 혈액항응고제 복용 시 섭취에 주의가 필요하며, 녹차추출물은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어 초조감, 불면 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특정 질환으로 병원 치료를 받거나 별도의 의약품을 복용하는 경우는 의사 등 전문가의 상담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면서 발생하는 부작용 추정사례 신고는 국번 없이 1577-2488 또는 식품안전정보포털(www.foodsafetykorea.go.kr)의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추정사례 신고센터를 이용한다.
- 또한 허위․과대 광고하는 식품 판매행위를 목격할 경우에는 불량식품 신고전화 국번 없이 1399로 즉시 신고해야 한다.

□ 식약처는 한 번에 많은 음식물을 미리 조리하여 섭취하는 추석 명절에는 식재료의 구입부터 조리·보관, 섭취까지 보다 꼼꼼한 주의가 필요하므로 위생적인 식품 관리요령을 숙지하여 건강하고 풍요로운 추석명절 연휴를 보내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9-24]


Articles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