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특수학교 164교 자유학기제 전면시행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Sep 19,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 중학교 과정을 운영하는 모든 특수학교에 2018년 2학기부터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164교)하고, 자유학년제를 확대(00교→48교)한다고 밝혔다.
○ 이는, ’16-’17년 자유학기 운영을 통해 나타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자유학기 확대 요구와 현장 의견 수렴 및 확대.발전 기반을 조성하여 이번 2학기부터 전면 시행 및 확대 운영하게 된 것이다.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을 통한 현장의 긍정적 변화 】

◇ (학생) 학생 참여형 수업 및 다양한 진로탐색활동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교생활에 긍정적 변화 선도
◇ (학부모)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지원단 활동 및 학교 프로그램 참여 증가로 학부모의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신뢰감 및 만족도 향상
◇ (교사) 자발적인 교실 수업 개선 노력으로 수업 효능감 향상
◇ (지역사회) 다양한 체험활동 기회 제공을 통해 특수학교와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개선의 계기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는 개별 맞춤형 소질?적성 계발로 미래생활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다양한 장애유형 및 특성, 학교의 여건 등을 감안하여 중학교 6학기 중에서 한 학기를 정하여 자유학기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학교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증가하고 있는 특수학교 상황 등을 고려하여 생활기능 영역**과 연계하여 ‘자유학기 활동’을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 장애의 정도가 매우 심하고, 장애가 두 가지 이상 또는 그 이상 중복해 있는 경우
** 생활기능 영역: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기능 및 유용한 의미의 체험에 중점을 두고, 의사소통, 자립생활, 탐구, 신체활동, 여가활동, 진로활동 등 운영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수업 내실화를 위해 자유학기에 관한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전문가로 구성된 자유학기제 지원단이 학교별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 연구학교(13교) 운영을 통해 우수사례를 발굴 확산하며, 수업자료 개발*을 통해 교실수업을 지원하고 있다.
* (’17년) 국어.사회, 수학.과학, 안전생활, 경제생활 학생 워크북 및 교사용 지도서 개발
(’18년) 예술.체육, 자립.직업생활 학생 워크북 및 교사용 지도서 개발
○ 교사는 교과와 자유학기 활동(진로탐색, 주제선택, 예술체육, 동아리)을 연계한 학생 활동 참여 중심 수업을 운영하고, 개별학생의 성장과 발달에 중점을 둔 과정중심 평가를 실시한다.
-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교사 연구회(116개 조직)가 운영되고 있으며, 집합.원격 연수 등에 2,244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적성과 흥미 발견을 통한 미래 진로설계 지원을 위해 양질의 체험활동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 전국 52개 거점특수교육지원센터 지정.운영을 통해 단위학교 진로체험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진로체험지원전산망 ‘꿈길’을 활성화하여 온라인 매칭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 또한, 관계부처(유관기관)*와 연계.협력을 강화하여 장애맞춤 체험처** 113곳과 체험프로그램 117개를 발굴?안내하였으며,
*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등
** 장애인일자리수행기관, 장애인표준사업장, 장애인복지관 등
- 중학교 과정부터 학교 졸업 이후의 직업생활에 대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진로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더불어, 학교간 체험 격차 해소를 위해 특수학교로 찾아가는 진로체험버스*를 확대 운영**하여 학교의 요구에 따른 맞춤 체험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장애특성 및 학교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멘토 또는 체험버스가 특수학교로 직접 찾아가 진로체험을 제공하거나 외부체험처를 활용하여 진로체험을 지원
** (’17년) 25교 720명 → (’18년) 50교 1,348명 예정
□ 교육부는 특수학교 자유학기제를 더욱 내실있게 운영하고, 희망하는 학교에서 자유학년제를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특별교부금으로 관련 예산*을 지원하며,
* 학교별 연간 평균 지원액(단위학교 학생 수 등을 고려하여 차등지원): 자유학기 10백만원, 자유학년 15백만원
○ 지역의 특색을 살린 자유학기 학년제의 확대?발전 및 단위학교 지원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시?도교육청 운영비를 확대** 지원하고 있다.
* 단위학교 컨설팅, 수업 및 평가자료 개발, 전문적 교수학습공동체 운영 등
** 교육청별 연간 평균 지원액(특수학교 수 등 고려하여 차등 지원): (’18년) 3천만원 내외 → (’19년) 4천만원 내외 지원 예정
□ ’22년까지 기본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모든 특수학교(139교)에 자유학년제를 연차적으로 확대.운영하고,
○ ‘20년 3월부터 특수학교에 전문 자격을 갖춘 진로전담교사를 배치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설계를 더욱 촘촘하게 지원할 계획이다.
○ 또한, 특수학교 자유학기 학년제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지역별 진로체험지원협의체 구성을 확대하여 단위학교 자유학기 운영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 교육부 정인순 학생지원국장은 “특수학교 자유학기.학년제의 운영 내실화와 안정적 정착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을 약속하며,
○ “자유학기.학년제를 경험한 장애학생들이 스스로 주인공이 되는 참여 중심 수업과 진로체험을 통해 숨은 재능과 가능성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교육부 2018-09-19 ]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