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취! 알레르기성 비염’…봄보다 가을에 주의해야
9월 평균 진료인원 115만명으로 3월보다 30% 많아
※ 알레르기성 비염이란?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원인으로 인해 코 점막이 자극을 받아 생기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감기 증상과 비슷하나 감기와 달리 발열증상이 없고 지속기간이 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알레르기성 비염 진료인원은 최근 5년간(2010~2014년) 9월 평균 진료인원이 114만6천명으로 전월보다 2배 이상, 3월에 비해 30% 이상 증가를 보였다.
2014년 기준 진료인원은 약 635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13.2%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10세 미만 유․소아가 전체 진료인원의 24.3%(4명 중 1명)를 차지하여,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주로 환절기에 진료인원이 많이 발생하며, 크게 통연성 비염(집먼지 진드기 등)과 계절성 비염(봄․가을 꽃가루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같은 비염은 9월에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데, 이는 봄․가을철에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인자들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표1. <알레르기성 비염> 월별 진료인원 현황 (2010~2014년 평균)
(단위: 명)
연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10년 | 788,099 | 670,734 | 786,154 | 820,834 | 733,393 | 515,149 | 427,028 | 427,427 | 1,041,434 | 1,061,377 | 866,285 | 826,073 |
2011년 | 705,934 | 632,333 | 838,617 | 800,025 | 728,436 | 515,470 | 433,285 | 568,393 | 1,140,252 | 1,031,201 | 867,691 | 1,014,319 |
2012년 | 873,867 | 834,590 | 896,333 | 862,849 | 841,720 | 526,380 | 454,272 | 491,704 | 1,130,446 | 1,104,959 | 939,724 | 814,408 |
2013년 | 808,678 | 808,770 | 943,145 | 952,314 | 854,552 | 529,816 | 479,212 | 560,410 | 1,189,344 | 1,069,586 | 997,943 | 879,771 |
2014년 | 923,987 | 953,764 | 936,639 | 1,010,170 | 817,314 | 553,228 | 551,123 | 635,346 | 1,228,636 | 1,117,848 | 1,085,745 | 1,005,335 |
평균 | 820,113 | 780,038 | 880,178 | 889,238 | 795,083 | 528,009 | 468,984 | 536,656 | 1,146,022 | 1,076,994 | 951,478 | 907,981 |
※ 월별 진료인원은 요양개시일 기준임.
‘알레르기성 비염’은 2014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 4명 중 1명이 10세 미만 유․소아로 약 156만2천명이 진료를 받았고, 특히 영유아에게 많이 나타난 것으로 드러났다.
표2. <알레르기성 비염>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0년~2014년)
구 분 | 진 료 인 원 (명) | 연 령 별 점 유 율 (%)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0~ 9세 | 계 | 1,248,384 | 1,284,407 | 1,426,782 | 1,611,940 | 1,562,469 | 22.0% | 22.7% | 23.4% | 26.0% | 24.3% |
남 | 670,079 | 685,802 | 759,102 | 854,508 | 827,711 | 26.1% | 26.6% | 27.2% | 29.9% | 27.9% | |
여 | 578,305 | 598,605 | 667,680 | 757,432 | 734,758 | 18.6% | 19.4% | 20.1% | 22.7% | 21.3% | |
10~ 19세 | 계 | 945,464 | 904,913 | 916,582 | 876,601 | 903,212 | 16.7% | 16.0% | 15.0% | 14.1% | 14.1% |
남 | 499,793 | 480,687 | 485,455 | 467,208 | 479,343 | 19.5% | 18.6% | 17.4% | 16.3% | 16.1% | |
여 | 445,671 | 424,226 | 431,127 | 409,393 | 423,869 | 14.3% | 13.8% | 13.0% | 12.3% | 12.3% | |
20~ 29세 | 계 | 637,735 | 612,034 | 640,499 | 615,764 | 640,244 | 11.2% | 10.8% | 10.5% | 9.9% | 10.0% |
남 | 230,622 | 228,271 | 243,244 | 240,906 | 258,513 | 9.0% | 8.9% | 8.7% | 8.4% | 8.7% | |
여 | 407,113 | 383,763 | 397,255 | 374,858 | 381,731 | 13.1% | 12.5% | 12.0% | 11.2% | 11.1% | |
30~ 39세 | 계 | 881,067 | 850,983 | 911,628 | 882,040 | 913,324 | 15.5% | 15.0% | 14.9% | 14.2% | 14.2% |
남 | 323,681 | 315,945 | 342,071 | 332,940 | 350,769 | 12.6% | 12.3% | 12.3% | 11.6% | 11.8% | |
여 | 557,386 | 535,038 | 569,557 | 549,100 | 562,555 | 17.9% | 17.4% | 17.2% | 16.5% | 16.3% | |
40~ 49세 | 계 | 755,511 | 755,021 | 799,947 | 784,907 | 843,426 | 13.3% | 13.3% | 13.1% | 12.7% | 13.1% |
남 | 308,655 | 311,465 | 331,959 | 327,243 | 353,588 | 12.0% | 12.1% | 11.9% | 11.4% | 11.9% | |
여 | 446,856 | 443,556 | 467,988 | 457,664 | 489,838 | 14.4% | 14.4% | 14.1% | 13.7% | 14.2% | |
50~ 59세 | 계 | 566,654 | 608,513 | 672,999 | 677,603 | 731,430 | 10.0% | 10.8% | 11.0% | 10.9% | 11.4% |
남 | 240,354 | 260,341 | 287,249 | 291,228 | 315,461 | 9.4% | 10.1% | 10.3% | 10.2% | 10.6% | |
여 | 326,300 | 348,172 | 385,750 | 386,375 | 415,969 | 10.5% | 11.3% | 11.6% | 11.6% | 12.1% | |
60~ 69세 | 계 | 369,585 | 363,658 | 403,864 | 403,988 | 444,012 | 6.5% | 6.4% | 6.6% | 6.5% | 6.9% |
남 | 169,617 | 168,875 | 187,523 | 187,927 | 207,031 | 6.6% | 6.5% | 6.7% | 6.6% | 7.0% | |
여 | 199,968 | 194,783 | 216,341 | 216,061 | 236,981 | 6.4% | 6.3% | 6.5% | 6.5% | 6.9% | |
70세 이상 | 계 | 270,912 | 278,960 | 329,753 | 345,088 | 382,691 | 4.8% | 4.9% | 5.4% | 5.6% | 6.0% |
남 | 122,218 | 127,737 | 150,395 | 158,884 | 177,130 | 4.8% | 5.0% | 5.4% | 5.6% | 6.0% | |
여 | 148,694 | 151,223 | 179,358 | 186,204 | 205,561 | 4.8% | 4.9% | 5.4% | 5.6% | 6.0% |
※ 연령별 점유율은 각 성별내에서의 점유율임.
생일을 전후하여 진료를 받아 만(滿)나이가 변경된 경우에는 연령 별로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합계로 환자수를 계산하는 경우 다수의 중복 환자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료 이용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5년간 (2010~2014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알레르기성 비염‘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0년 약 560만8천명에서 2014년 약 635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74만2천명(13.2%)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3.2%이며,
총 진료비는 2010년 약 1,678억원에서 2014년 약 2,181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503억원(30.0%)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6.8%를 보였다.
표3. <알레르기성 비염>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10년~2014년)
구 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
진료인원 (명) | 계 | 5,607,634 | 5,595,567 | 6,032,599 | 6,133,047 | 6,349,940 |
남 | 2,534,663 | 2,550,571 | 2,755,324 | 2,830,902 | 2,936,269 | |
여 | 3,072,971 | 3,044,996 | 3,277,275 | 3,302,145 | 3,413,671 | |
총진료비 (천원) | 계 | 167,805,512 | 172,218,675 | 186,664,960 | 195,109,878 | 218,117,613 |
남 | 79,767,226 | 82,526,722 | 89,143,305 | 94,068,245 | 105,497,471 | |
여 | 88,038,286 | 89,691,954 | 97,521,655 | 101,041,633 | 112,620,142 |
‘알레르기성 비염’은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기후변화 등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들에 의해 코 점막이 자극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 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감기와 비슷하나 자극을 받았을 때 갑자기 발생하며, 발열증상은 없으나
위와 같은 증상 외에도 눈의 충혈, 눈․코 주위의 가려움, 후각 감퇴, 두통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중이염, 부비동염, 인후두염, 결막염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요법, 면역요법, 수술요법 등이 있다.
약물요법으로는 항히스타민제 및 경구용․경비강 스테로이드 등이 널리 쓰이고 있지만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면역요법은 환자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을 약한 강도로 투여하는 방법으로 오랜 기간 지속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환경을 피하는 것으로 집먼지 진드기 및 애완동물의 털 제거를 위해 주기적인 침구류 청소는 물론, 환절기 꽃가루 등이 많이 날리는 기간에는 마스크를 착용한다
심사평가원 노영수 심사위원은 “알레르기성 비염은 원인인자를 피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며, 개인마다 원인이 다르므로 평소 자신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인자들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15-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