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계부채 동향 및 향후 정책방향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May 23,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17.1분기 가계부채 동향(한은 가계신용)

□‘17년 1분기 가계부채는 ’16년말 대비 +17.1조원 증가하여 1,359.7조원 수준(한은 가계신용 기준)

ㅇ금융기관 가계대출(‘17.1분기 +16.8조원)은 리스크관리 노력 등에 따라 전년동기(’16.1분기 +20.5조원)에 비해 증가폭 둔화

-(은행) 대출금리 상승, 가계대출 리스크관리 강화 등으로 전년동기(‘16.1분기 +5.6조원) 대비 증가폭 둔화(‘17.1분기 +1.1조원)

* 주금공 양도분 제외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제2금융권 리스크관리 강화* 영향 등으로 전년동기(‘16.1분기 +7.6조원)대비 증가폭 둔화(’17.1분기 +7.4조원)

* 상호금융권 여신심사가이드라인 시행(‘17.3.13) 등

-(기타 금융기관 등) 정책모기지 증가(+5.1조원, 전년동기 +3.7조원) 등으로 전년동기(‘16.1분기 +7.4조원) 대비 증가(’17.1분기 +8.4조원)

ㅇ판매신용은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17.1분기 +0.3조원)
2. ‘17.1분기 이후 금융기관 가계대출(금감원 속보치)

□‘17.1분기 이후에도 금융기관 가계대출은 증가속도 둔화 지속(금감원 속보치 기준)(’17.4월∼5.12일 중 +10.0조원, 전년동기 +12.7조원)

ㅇ(은행) 4월∼5.12일 중 +6.7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기(+7.3조원) 대비 증가폭이 감소(주금공 양도분 포함)

- 다만, 주택 실수요자 대상 정책모기지 공급은 안정적으로 지속

* 정책모기지 공급(조원) : (‘17.1월)2.4 (2월)3.6 (3월)3.8 (4월)3.2 (5.1∼12)1.0(정책모기지 1∼4월 공급액 13.1조원은 전년 동기 9.9조원 대비 +3.2조원 확대)

-중도금대출도 리스크관리 강화 기조하에서도 분양물량이 유사했던 ‘14년 수준으로 지속 공급 중

* 중도금대출 신규승인(조원) : (‘14.4.) 2.7 (‘15.4.) 5.5 (‘16.4.) 5.9 (‘17.4.) 3.3

ㅇ(제2금융권*) 4월∼5.12일 중 +3.3조원 증가하여, 전년 동기(+5.4조원)보다 증가폭이 감소

* 은행 제외 금감원 감독대상(상호금융, 신협, 보험, 저축은행, 여전) + 새마을금고

3. 평가 및 향후 대응방향

□(평가) 가계대출 리스크관리 노력 등에 따라 은행권 뿐 아니라 제2금융권 가계대출도 점차 증가세가 안정화되는 모습

ㅇ ‘17.1분기 가계부채 증가규모는 전년동기대비 감소(’16.1분기 20.6조원 → ‘17.1분기 17.1조원, 한은 가계신용)하였으며,

- 제2금융권 여신심사가이드라인이 본격 시행된 3월 이후로 보면 ‘15년 대비로도 증가규모가 감소하고 있는 상황

* 3월∼5.12일 가계대출 증가(조원, 금감원 속보치) : (‘15)+18.7 → (’16)+21.0 → (‘17)+15.4

ㅇ 다만, 금리인하, 부동산경기 회복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前인 ‘13∼’14년 대비로는 증가규모가 여전히 높아 향후에도 면밀한 관리가 필요

* 1분기 가계신용 증가(조원, 한은) : (‘13)△0.9 (’14)+3.4 → (‘17)+17.1



[ 금융감독원 2017-05-23 ]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