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열, 콜레라 추가한 총 23종 감염병지침 개정·발간

by 소비생활센터운영자 posted May 15,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6년 만에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 전부개정, 변화하는 국내외 역학정보 등 최신 정보 수록

유행지역 방문, 기저 질환자 등 특수상황 시 예방접종 실시기준 제공으로 국내 예방접종 서비스 수준 향상 기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표준예방접종 지침을 보급하기 위해 백신 관리방법과 국내외 감염병의 역학정보 등을 수록한「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지침을 6년 만에 전부 개정․발간한다고 밝혔다.

※ 지침 개정 연혁: ’05.1월 초판 발행 후 일부 수정하여 같은 해 2월 2판 발생→ ’06년 제3판 발간→ ’11년 제4판 발간→ ’13.5월 제4판 수정판 발간→’17.4월 제5판 개정판 발간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실시기준에 더해 국내에서 사용되는 백신과 기저질환, 환자 노출력 등을 고려한 대상자별 적용을 위한 의료인용 지침서(Professional guideline)로,

해외여행자를 대상으로 접종되던 2종(황열, 콜레라) 감염병을 포함한 총 23종 감염병*에 대한 최신 역학 및 진단·치료와 예방접종 실시에 대한 학술적 기준을 포함하고 있다.

* 붙임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목차 및 구성> 참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30~40대 이상 성인 발생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A형간염의 예방을 위해 40세 미만에서는 항체검사 없이 백신을 접종하고, 40세 이상에서는 항체검사를 실시해 항체가 없는 경우에 접종한다(유료).

검사 없이 접종하는 연령을 당초 30세 미만에서 40세 미만으로 확대한 것은, 30대의 면역항체 형성률이 1980-90년대 100%에서 최근 50%로 떨어진 조사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 2015년부터「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을 통해 2012년 이후 출생아 대상 2회 접종(생후 12~35개월 1차, 6개월 후 2차) 무료 지원 중이며, 성인 중 고위험군(A형간염 유행지역으로의 여행자나 장기 체류자, 남성 동성애자, 불법 약물 남용자, 직업적으로 노출될 위험이 있는 자(실험실 종사자, 의료인, 군인, 요식업 종사자 등))은 접종 필요(유료)

검역 감염병인 황열의 경우, 위험지역을 여행하거나 예방접종 증명서를 요구하는 국가를 방문하는 자는 최소 10일 전 1회 접종한다(유료).

* 생후 9개월-59세 성인: 황열 백신 0.5ml 1회 피하 또는 근육주사하며 1회 접종으로 평생 면역을 획득함
* 황열 위험지역 및 국가와 황열 예방접종 가능 의료기관 현황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http://cdc.go.kr) ☞ 알림 ☞ 해외여행건강정보 ☞ 예방접종 의료기관에서 확인

오염된 물이나 음식으로 전파되는 콜레라의 경우 잠복기가 2-3일에 불과해 적절한 치료와 격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주변으로 확산되기 쉬워,

유행 지역에 거주(근무)하거나 예방접종 증명서를 요구하는 국가에 입국 시, 연령에 따른 기초접종(2회 또는 3회)과 추가접종(1회)*이 필요하다(유료).

* 만 6세 이상 소아와 성인(최소 1주일 간격 2회 기초접종, 2년 이내 1회 추가접종)은 발포과립을 냉수 150 ml에 녹인 후 백신 1 vial을 혼합하여 2시간 이내 경구복용하며 2~6세미만 소아(최소 1주일 간격 3회 기초접종, 6개월 이내 1회 추가접종)는 발포과립을 냉수 150 ml에 녹인 후 절반을 버리고 남은 용액(75 ml)에 백신 1 vial을 혼합하여 2시간 이내 경구 복용함

한편, 공인식 예방접종관리과장은 최근 예방접종 거부 관련 논란에 대해서 “예방접종에 대한 잘못된 정보*는 백신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며**, 최근 이슈가 된 극단적인 자연주의 치료법 맹신에 따른 예방접종 기피는 낮은 접종률과 감염병의 재유행***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며,

* 백신에 대한 불신과 백신 안전성에 대한 잘못된 정보(mistrust and misunderstandings about vaccines)는 재유행을 초래하는 중요 요인 중의 하나로 작용함(Oxford Text book of public health, 5th Ed. 2009)
** 1998년 영국의 웨이크 필드 박사가 MMR 백신이 자폐증과 관련 있다는 논문을 게재(Lancet), 이후 연관성 없음이 확인되어 2010년 논문 취소와 해당 의사 면허가 박탈됨. 그러나 이후로도 영국 등 유럽의 많은 부모가 MMR 접종을 거부하여 홍역 유행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음
*** 재유행 사례
① (2000년 홍역 퇴치된 미국) 2015년 캘리포니아 지역(디즈니랜드 방문자) 중심으로 홍역 유행 발생, 당시 환자의 상당수가 개인적 신념에 따라 예방접종을 거부한 미접종자로 확인됨. 2017년 4월부터 현재까지 미네소타주 소말리아 커뮤니티에서 홍역 유행 중으로 환자의 90%는 미접종자로 확인, 이는 자폐증에 대한 우려로 2008년 이후 해당 집단에서 MMR 백신 접종률이 급격하게 감소한 것이 원인(2014년 미네소타주 소말리아계 미국인 MMR 접종률은 42%)
② (유럽) 최근 루마니아와 이탈리아 중심으로 홍역 유행 지속됨. 특히, 루마니아에서 2016년 1월~2017년 4월까지 홍역 환자 5,200명(사망 24명)발생, 이는 95% 이상 유지되던 홍역 백신(MMR) 접종률이 2010년 이후 지속 감소하여 2015년 MMR 1차 접종률 86%로 감소한 것이 원인임

특히 “미국 홍역 유행 사례는, 감염병 발생이 퇴치수준*에 이르렀다 해도 국가 간에 교류가 활발한 최근 국제화된 사회에서는 해외에서 유입되는 환자에 의한 재유행 위험이 계속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위험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 1979년 전 세계 두창 박멸, 2000년 아메리카지역 홍역퇴치, 2014년 대한민국 홍역퇴치 인증, 1960년대 이전 국내 흔히 발생하던 폴리오(소아마비)도 예방접종을 통해 1983년 이후 발생하지 않고 있음

예방접종 전문가인 이환종 교수(서울대 소아감염 교수)도 “예방접종은 비용 대비 편익 면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공중보건 중재의 수단으로 그간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 가능한 많은 질병들의 발생은 현저하게 감소되는 등 인류의 건강증진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며,

예방접종을 통한 감염병의 발생 감소로 인해 해당 감염병의 위험은 잘 느껴지지 않고, 오히려 예방접종의 부작용 등이 더 부각되어 보임으로써 예방접종을 거부하기도 하나, 이는 합리적인 판단이 아님을 지적했다.

지침은 보건소를 포함하여 예방접종이 시행되는 의료기관 및 관련 학․협회, 의과대학 도서관 등을 포함한 전국 15,688곳에 배포되며(5.11~5.22),

예방접종에 대해 관심 있는 일반인들도 질병관리본부 및 예방접종도우미 등에서 전자문서를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e-book,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콘텐츠로 개발해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동 지침에 대한 문의 및 건의사항은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043) 719-6848∼6851)를 통해 확인 또는 질의 가능함

[온라인 다운로드]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cdc.go.kr) → 알림 → 지침
  •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http://nip.cdc.go.kr) → 예방접종 지식 창고 → 예방접종 지침
  • 질병보건통합관리 사이트(http://is.cdc.go.kr) → 예방접종 관리 → 자료실 → 지침서

[모바일 앱 다운로드]

  • 질병관리본부 앱 → 알림 → 지침
  • 예방접종도우미 앱 → 예방접종 알림터 → 공지사항

6년 만에 전부 개정된 이번 지침은 지난 2015년 9월부터 1년간 국내 예방접종대상 감염병 및 백신분야 전문가 19명이 참여한 정책연구(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 이환종 교수)*를 통해 마련되었으며,

대한소아과학회, 대한감염학회 등 유관 학회의 검토를 거쳐 지난해 12월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받았다.

* 연구과제명: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 개정/연구기간: ’15.9~’16.7
** 예방접종전문위원회: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구성․운영 중인 감염병관리위원회 산하 예방접종 분야 전문 심의 기구



[ 보건복지부 2017-05-15 ]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