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소비자상담 동향

by 강원도소비생활센터 posted Apr 21,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년 3월 소비자상담 동향

- 국외여행, 학습지, 상조서비스 관련 상담 증가 -

(상담건수) 2017년 3월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은 67,627건으로 전월(62,820건)대비 7.7%(4,807건), 전년동월(65,458건)대비 3.3% (2,169건) 증가함.

1372소비자상담센터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증가율 상위 품목) 전월대비 증가율 상위 품목은 학습지(42.5%), 국외여행(39.2%), 원피스(36.0%), 신발세탁(31.1%), 운동화(28.5%) 등의 순이며, 전년동월대비 증가율 상위 품목은 모바일게임서비스(82.1%), 상조서비스(65.7%), 원피스(59.4%), 국외여행(50.8%), 항공여객운송서비스(42.6%) 등의 순임.

* 사드문제로 인해 중국 여행상품 계약 취소 등으로 ‘국외여행’ 관련 상담이 전월?전년동월대비 증가하였으며, 학습지 계약해제·해지 시 지급받은 기기 대금 과다청구로 인해 전월대비 ‘학습지’, ㈜더라이프앤, 아름다운상조(주) 폐업으로 인해 전년동월대비 ‘상조서비스’ 관련 상담이 증가함.

<붙임> ‘증가율 상위 주요 품목’ 참조

(판매방법) 특수판매 관련 상담은 20,948건으로 전체 상담의 31.0%이며, 유형별로는 전자상거래 관련 상담(12,959건)이 가장 많았고, 방문판매 (3,162건), 전화권유판매(1,706건), TV홈쇼핑(1,422건) 등의 순임.

* 전자상거래는 간편복, 신발, 여객운송서비스, 방문판매는 회원권, 유사보험, 주방설비, 전화권유판매는 인터넷서비스, 일반화장품, 이동통신, TV홈쇼핑은 여행, 조리기기?기구, 이?미용기구 관련 상담이 많았음.

(상담 다발 품목) 상담이 많은 품목은 휴대폰·스마트폰(1,967건), 이동전화서비스(1,713건), 헬스장·휘트니스센터(1,680건) 등의 순임.
【 3월 소비자상담 다발 품목 현황 】 (단위 : 건, %)
순위품목명건수주요 상담내용
비율
1휴대폰·스마트폰1,9672.9- 전원 꺼짐, 발열, 작동 불량, 블루투스 연결 불량, 방수기능 불량 등 품질 불량 - 액정 품질 불량(파손, 터치 불량, 잔상 현상 발생 등) - 배터리 하자(스웰링, 급속 방전, 발열 등) - AS 후에도 동일 하자 반복, 수리비 과다청구, 수리용 부품 미보유, 데이터 유실, 소프트웨어 하자에 대한 AS 미지원 등 AS 불만족
2이동전화서비스1,7132.5- 통화품질 불량 등으로 인한 계약해제·해지 시 거부 또는 위약금 과다청구 - 알뜰폰 개통 시 안내한 내용(무료 단말기 제공, 요금 등)과 실제약정 내용이 상이 - 해지 처리 지연 또는 누락 후 요금 청구 - 데이터 로밍 등 미사용 데이터 요금 과다청구
3헬스장·휘트니스센터1,6802.5- 요가·개인트레이닝 등 계약해제·해지 시 위약금 과다청구, 환급 지연 또는 거부 - 업체 폐업 후 환급 지연 또는 인수한 업체에서 계약 내용 불이행
4국외여행1,5562.3- 여행 상품 계약해제·해지 시 위약금 과다 청구 ※ 사드 문제로 인해 중국 여행상품 계약 취소 관련 상담 다수 접수 - 여행일정 임의 변경 또는 불이행, 가이드 불성실 - 여행상품 모집인원 미달로 계약 취소 통보 후 환급 지연 등
5초고속인터넷1,3812.0- 서비스 장애, 속도 저하 등 서비스 품질 불량으로 인한 중도해지 시 위약금 과다청구 - 결합상품 약정내용 상이(요금 할인 미이행, 사은품 미지급 등), 위약금 미지원 등 계약불이행 - 설치 관련(설치 불가지역으로 이전 시 위약금 과다 청구, 설치 지연 등) - 해지 처리 지연 또는 누락 후 요금 청구
(상담사유) 품질(14,184건)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고, 이어 계약해제·해지/위약금(13,574건), 계약불이행(7,828건) 등의 순으로 많음.

* 품질은 병·의원서비스, 세탁서비스, 간편복, 계약해제·해지/위약금은 회원권, 여행, 인터넷서비스, 계약불이행은 화물운송서비스, 이동통신, 인터넷서비스 관련 상담이 많았음.

(연령대별) 소비자의 연령대 확인이 가능한 상담 63,657건 중 30대가 21,419건(33.6%)으로 가장 많고, 40대(16,375건, 25.7%), 50대(10,942건, 17.2%), 20대(8,977건, 14.1%) 등의 순으로 많음.

* 10대 이하는 방문·통신교육서비스, 20대·30대는 회원권, 40대는 통신기기·액세서리, 50대는 여행, 60대 이상 소비자는 병·의원서비스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음.

(상담처리) 2017년 3월 상담(67,627건) 중 55,074건(81.4%)은 소비자단체·지자체·한국소비자원에서 소비자분쟁해결기준 및 관련법규 등 소비자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자율적인 분쟁해결에 도움을 줌. 자율적인 해결이 어려운 사업자와의 분쟁은 소비자단체 및 지자체의 피해처리를 통해 9,484건(14.0%), 한국소비자원의 피해구제·분쟁조정을 통해 3,054건(4.5%)을 처리함.

자세한 내용은 ‘1372 소비자상담센터 홈페이지’(www.1372.go.kr) - ‘통계자료’ - ‘상담동향’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4-21]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