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66만명

by 강원도소비생활센터 posted Oct 07,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는 올해 9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주민등록 인구는 51,664,244명으로 2015년말에 비해 134,906명(0.26%) 늘어났고, 지난 8월에 비해 14,692명(0.03%)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여자는 2015년 6월 이후 남자 인구를 초과하여 9월말에는 남자 25,815,202명 보다 33,840명이 더 많은 25,849,042명(50.03%)이다.

주민등록 세대수는 21,214,428세대로, 지난달 21,192,974세대 보다 21,454 세대가 증가하였고, 세대당 인구는 2.44명이다.

지난 ’15년과 비교할 때 경기(143,672명), 세종(25,250명), 인천(14,621명), 제주(13,804명), 충남(12,182명) 등 8개 시도의 인구가 늘어난 반면, 서울(-57,890명), 부산(-7,956명), 전남(-6,919명), 전북(-4,982명), 대전(-2,534명), 대구(-2,137명) 등 9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참고로 인천은 등록외국인(57,792명)을 포함하면 2,998,228명으로 300만에 육박하였다.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통계월보(8월) 참고

’15년 말과 비교해 시·군·구의 주민등록 인구는 경기 화성(33,826명), 경기 하남(30,218명), 대구 달성군(18,537명), 부산 강서(11,175명), 경남 양산(10,291명) 등 1만명 이상 증가한 5개 지역을 포함 80개 지역(전체 시군구 226개의 35.4%)의 인구가 증가한 반면, 서울 강동(-10,777명), 대구 달서(-7,903명), 서울 강남(-6,534명), 서울 성북(-5,591명), 경기 안산(-5,524명) 등 146개(64.6%) 지역은 감소하였다. 경남 산청, 경남 김해, 경북 울릉, 경북 군위, 전북 부안 등 13개 지역은 인구 증감이 100명 이내로 나타났다.

시·군·구 중에서 9월 현재 주민등록 인구가 100만이 넘는 지역은 수원(1,192,418명), 창원(1,066,340명), 고양(1,035,364명) 3개 지역이다. 90만이 넘는 지역이 용인(985,482명), 성남(979,159명) 2개 지역이며, 인구가 많은 상위 10개 지역에 부천, 안산, 남양주 등 경기도의 7개 지역과 경남 창원, 충북 청주, 서울 송파구가 포함되었다.

주민등록 인구가 적은 10개 지역에는 경북 지역 4개(울릉군, 영양군, 군위군, 청송군), 전북 지역 3개(장수군, 무주군, 진안군), 강원 지역 2개(양구군, 화천군), 인천 지역 1개(옹진군)이다.

’15년 말과 비교할 때 읍·면·동의 인구는 경기 화성 동탄4동(20,849명), 경기 성남 위례동(18,622명), 경기 하남 미사1동(11,928명), 경기 하남 위례동(11,616명), 경남 양산 물금읍(11,338명) 등 1만명 이상 증가한 7개 지역을 포함하여 958개(27.4%) 읍·면·동의 인구가 증가한 반면, 서울 강동 상일동(-9,346명), 경기 성남 금광1동(-5,275명), 서울 은평 응암제1동(-4,136명), 서울 송파 거여2동(-3,973명), 서울 강남 개포2동(-3,957명) 등을 포함하여 2,523개(72.2%) 지역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읍·면·동 중에서 9월 현재 주민등록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 남양주 화도읍으로 104,127명이고, 가장 적은 지역은 강원 철원 근북면으로 주민등록 인구가 110명이다. 인구 7만 이상인 읍·면·동은 16개인데, 경기 6개, 경남 4개, 부산·대구·광주·울산·전북·경북 각각 1개 지역이 포함되었고, ’15년 말 면 지역의 평균 인구(4,091명)보다 적은 지역은 929개(전체 읍면동 3,496개의 26.6%)이다.

주민등록 세대원수별 세대현황을 보면, 전체 21,214,428 세대 중에서 1인 세대가 34.8%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 2인 세대가 21.3%, 4인 세대 18.7%, 3인 세대가 18.5% 순이다.

1인 세대의 연령별 분포는 50대가 19.7%로 가장 많고, 40대가 17.5%, 30대가 17.1%, 60대가 14.9% 순이고, 만 17세 미만인 1인 세대도 8,918세대(0.1%)가 있으며, 만 100세 이상은 12,438세대(0.2%)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세대 중에서 남자는 51.9%이고, 여자는 48.1%이다. 참고로, 1인 세대는 주민등록 인구DB를 전산적으로 처리한 2008년부터 가장 비중이 높은 세대(31.6%) 유형으로 ’10년 33.3%, ’14년 34.0%, 올해 9월 34.8%로 꾸준히 증가하였다.

담당 : 주민과 정영근 (02-2100-3824)

 

[행정자치부 2016-10-06]


Articles